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파이썬
- roboflow
- ios 개발 시작
- c언어
- 이미지학습
- kakao 2018
- fast.ai
- 카카오 2018
- coco 데이터셋
- 스위프트
- 날씨 앱
- 소수
- 문제
- 카카오 2020
- 머신러닝
- 프로그래머스 답
- supervisely
- Siwft
- Python
- 최솟값 만들기
- 카카오 2019
- 카카오 2021
- SwiftUI
- Kakao
- swift 시작
- 카카오
- swift
- 데이터셋 만들기
- swift 배열
- 프로그래머스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스위프트 튜플 (1)
잡초의 일지

튜플은 비슷한 자료들의 모음집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 이런 식으로 x, y좌표 값을 튜플로 만들었다. 이 좌표값들을 불러오기 위해서 let x = coordinate.0 과 let y = coordinate.1 을 사용하였다. 하지만, 여기에서 0과 1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기가 힘들다. 그래서 이름을 붙여준다. x축과 y축이므로 let coordinateName = (x:5, y:9) 라고 하였다. 그럼 밑에서 이것을 불러줄 때, let x2 = coordinateName.x 와 let y2 = coordinateName.y 로 대신 이름을 불러줄 수 있다. 이런 식으로 좌표형으로 튜플을 만들어 주었다. 만든 튜플을 switch문에서 where와 함께 사용하였다.
[코딩] 배우는것/Swift
2020. 7. 7. 18:54